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Defcon
- 웹
- 암호수학
- 암호
- python
- Symmetric key algorithm
- 암호학
- 파이썬 문제
- Symmetric key crypto
- php
- pythonchallenge
- 네트워크
- c
- 대칭키 암호
- 대칭키암호
- WEB
- network forensic
- 포렌식
- DefCon 21
- 파이썬 문법
- Stream cipher
- block cipher
- NFPC
- C언어
- The python challenge
- forensic
- CTF
- Symmetric key
- 파이썬 공부
- 파이썬
Archives
- Today
- Total
Hardner
Netstat 명령어에 대해 본문
SMALL
Netstat 명령어란?
전송 제어 프로토콜, 라우팅 테이블, 수많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),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위한 네트워크 연결을 보여주는 명령 줄 도구이다.
netstat 명령어

명령 프롬프트에 netstat에 아무 옵션을 주지 않고 실행시키면 위와 같이 화면에 4개의 값이 나옵니다.
- 프로토콜: 사용하는 프로토콜(TCP/UDP)
- 로컬주소: 활성화 되어있는 사용자 컴퓨터의 IP/호스트네임과 ':'뒤에 포트번호.
- 외부주소: 사용자의 PC와 연결되어 있는 IP/호스트네임과 ':'뒤에 포트번호.
- 상태 : 연결된 상태에대한 정보.
상태 | 설명 |
LISTENING | 연결 요청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. (포트 열려있음) |
ESTABLISHED | 3way handshake 진행 후 연결이 성립되어있는 상태. |
TIME_WAIT | 종료 준비가 끝났으나 원격의 수신 보장을 위해 기다리는 상태 |
SVN_SENT | 로컬에서 원격으로 연결을 요청(SYN 신호를 보냄)을 시도한 상태. |
SVN_RECV | 원격으로부터 연결 요청을 받은 상태. 요청을 받아서 SYN + ACK 신호로 응답한 후, ACK를 대기하고 있는 상태. |
CLOSE_WAIT | 원격이 종료 요청을 받고 연결이 종료되기를 기다리는 상태. 원격으로 부터 FIN + ACK 신호를 받고, ACK신호를 원격으로 보냄. |
CLOSED | 연결이 종료된 상태. |
LAST_ACK | 원격지로부터 FIN 요청을 받고 연결을 종료한 상태 |
UNKNOWN | 소켓 상태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. |
netstat 옵션
- netstat -h(help) : 전체적인 옵션 설명

LIST
'Computer > etc.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공지능 용어 개념정리 (0) | 2019.07.11 |
---|---|
랜섬웨어란? (0) | 2019.07.04 |
Tor Browser란? (0) | 2019.07.01 |
스레드(Thread)란? (0) | 2019.02.11 |